최근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대세로 자리잡은 경영전략은 바로 ‘린스타트업’이다.
Continue reading“벤처 창업, 꾸준히 지켜보다 도전할 땐 과감히” – 국제신문
우주인 고산 씨, 부산대서 창업 세미나 – U’s Line
[U’s Line 오소혜 기자] “달을 향해 꿈을 쏜 우주인 도전자의 CEO 창업 변신기”
부산대학교는 오는 3일 부산대 CK-I 사업단인 「동남권 기계기반 융합부품소재 창의인재양성 사업단」이 ‘한국 최초의 우주인’에 선발됐던 (주)에이팀벤처스/(사)타이드 인스티튜트의 고산 대표를 초청, 부산대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오후 3시 30분부터 약 3시간에 걸쳐 창업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지난 1일 밝혔다.
고 대표는 지난 2006년 3만6000여 명의 경쟁자를 물리치고 한국인으로는 처음 우주인 후보에 뽑혀 러시아 가가린우주인훈련센터(GCTC)에서 실전 훈련을 받은 바 있다.
현재 그는 과학기술 기반의 창업지원 플랫폼인 비영리기관 ‘(사)타이드 인스티튜트’의 대표이면서, 직접 3차원(3D) 프린터 생산업체인 ‘(주)에이팀벤처스’를 창업하기도 했다.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비영리기관의 운영자인 고 대표는 이번에 부산대 CK사업단이 진행하는 창업스쿨에 초청돼 세미나에서 자신의 창업과 도전에 대한 경험을 들려줄 계획이다. 이번 초청 세미나에서는 국내 3D 프린터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고 대표를 비롯해 김진범 CTO(최고기술경영자), 민홍준 Creative Director(기획총괄관리자)의 도전과 창업에 대한 강연도 함께 진행된다.
고 대표는 한국 최초의 우주인 도전부터 3D 프린터 업체 창업까지 이어진 자신의 경험을 ‘Shoot for the Moon!(달을 향해 쏴라!)’이라는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김진범 CTO는 세계적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는 ‘메이커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에 관한 내용을, 또 민홍준 Creative Director는 ‘구성원이 바라본 스타트업과 스타트업이 바라는 구성원’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강연할 예정이다.
*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아이디어를 자신의 힘으로 직접 구현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세스와 노하우를 공유·확산시켜 나가는 메이커들의 문화
고종수 부산대CK사업단 부단장(기계공학부 교수)은 “빡빡한 일정으로 외부 강연이 매우 힘든 상황임에도 부산의 젊은 창업인재들을 위해 흔쾌히 시간을 내준 고산 대표에게 감사하다”며 “이번 세미나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후보가 국가로부터 받은 지원을 다시 우리 사회에 환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한 비영리기관·벤처 사업가로서의 왕성한 활동, 그간의 경험 등을 미래를 꿈꾸는 우리 청년들에게 들려주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이날 세미나와 함께, 부산대 CK사업단과 (주)에이팀벤처스는 3D 프린터를 기반으로 하는 ‘메이커 운동’의 지속적인 발전과 학생 창업지원을 위한 기본업무협약(MOU)도 체결할 계획이다.
오소혜 기자 sohye@usline.kr
원문 보기 : http://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8931
고양 스마트시티 지원센터,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개소 – 고양신문
‘고양 스마트시티 지원센터’가 지난 20일 장항동 브로맥스Ⅰ 5층에 개소했다.
Continue reading아이디어만 있으면 ‘팹랩’서 시제품 뚝딱 – 조선일보
3D 프린터 등 고가 장비 갖춰 무료·회원제로 저렴하게 제공
스타트업·창업자들에 유용
처음 기업을 시작하는 창업자들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제품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제품을 만들기 위해 금형을 제작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또 아이디어를 실물로 만들어 시험해보고 싶어도 고가(高價)의 각종 제작 장비를 갖추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팹랩’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팹랩은 ‘제작(fabrication)’과 ‘실험실(laboratory)’의 합성어로, 3D 프린터를 비롯한 각종 제작 장비를 갖춘 창작 지원 공간을 뜻한다. 무료이거나 싼 비용으로 장비를 사용할 수 있어 스타트업(창업 초기 기업)이나 창업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경기도의 청년 창업 지원 기관인 북부경기문화창조허브는 지난해부터 경기 의정부시에 ‘멋랩’이라는 팹랩을 운영 중이다. 3D 프린터 3종류와 CNC(컴퓨터 수치 제어) 조각기, 각종 소형 공작 기계, 영상 편집기 등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전문 관리자가 상주해 기기 사용에 필요한 교육도 받을 수 있다.
서울 은평구의 ‘서울이노베이션팹랩’은 은평구 녹번동 서울혁신파크 안에 있는 회원제 팹랩이다. 월 7만5000원을 내고 회원으로 가입하면 3D 프린터, 3D 스캐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아도 시간당 요금(장비에 따라 2000~5000원)을 내면 이용 가능하다. 영등포구도 참여형 과학 교육 시설인 ‘융합인재교육센터’에서 3D 프린터와 각종 공작 기계를 갖춘 팹랩을 운영 중이다.
‘팹랩 서울’은 서울 청계천로 세운상가에 있는 팹랩이다. 3D 프린터와 레이저 커터, CNC 조각기 등을 갖추고 있다. 다른 사용자와 장비 사용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예약할 수 있다. 장비에 따라 시간당 요금을 3000~8000원 받는다. 세운상가에 밀집해 있는 전자 부품 상가, 관련 기술 장인들과 팹랩을 이용하는 예비 창업자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팹랩이 서울이나 수도권의 전유물은 아니다. 지난 3월에는 부산 부경대 용당캠퍼스 내 부산창업지원센터에 ‘팹랩 부산’이 문을 열었다. 단순한 장비 제공에 그치지 않고 창작 관련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원문보기: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6/12/23/2016122300034.html
국제패션디자인직업전문학교 이시현 학생, ‘패션 웨어러블 메이커톤’ 우수상 수상 – 뉴스타운
이번 행사에는 사전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과한 60명이 무박 2일 일정으로 메이킹 마라톤 펼쳐
Continue reading마포석유비축기지, 주민주도 혁신적 모델 제시 – 한국건설신문
서울시 등 5개 전략기관, 세운상가 창의제조산업 활성화 협업 – 메트로신문
서울시가 대학, 기업 등 5개 전략기관과 손잡고 세운상가 일대를 창의제조 산업 혁신지로 재도약 시키기 위해 힘쓴다.
Continue reading[스타일] 미사일도 만든다던 세운상가, 이젠 문화공작소 – 중앙일보
고양시, LG 유플러스등 10개 기관과 ‘고양 스마트시티 조성 위한 MOU’ 체결 – 브릿지경제
경기도 고양시는 지난 20일 킨텍스에서 10개 기관이 참여하는 ‘고양 스마트시티 및 IoT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제휴…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