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DE #9] 재주 많은 제주 청년들이 모인 이유는?

 

타이드인스티튜트 9월호 소식입니다.

─   제주 청년창업사관학교 개교   

[ 제주 청년창업사관학교 ]
제주 청년 창업 기업들의 성공 창업을 위해
제주 청년창업사관학교를 개교하였습니다.
 
제주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는
혁신성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 코칭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창업 기업을 성공으로 이끌 것입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17 벤처마루 2층
더욱 강력해진
─   메이커스 프로 – Makers Pro  

[ 메이커스 프로 시즌 3 ]
 팹랩서울에서 진행되는 메이커스 프로는
전자회로, 프로그래밍, PCB 제작, 기구설계 등
기존의 메이커 교육과 차별화된 전문과정입니다.
이번 시즌 3에서는
PCB 제작, 아두이노 코딩에 이어
라즈베리 파이 마스터 과정이 추가 개설되었으며,
아두이노 마스터 과정 토요반을 모집중입니다.
~ 10월 19일 까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팹트럭의 변신은 무죄!
  팹트럭 2.0 리뉴얼  

 이동형 메이커 스페이스팹트럭이 새단장을 끝마쳤습니다!
새 옷으로 갈아입은 팹트럭은
기술 소외 지역에 메이커 교육을 제공하여
메이커 문화확산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새롭게 달라진 팹트럭의 모습이 궁금하시다구요?
팹랩서울 페이스북 페이지에 언제어느날갑자기 공개될 지 모르니
좋아요“와 “팔로우“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Think it, Make it, Share it
아마추어도 아티스트다! 다시 돌아
  [팹랩서울 · 2018 팹티스트]  

[ 2018 팹티스트 ] 
 
팹티스트는 Fab + Artist의 합성어로,
팹티스트를 통해 작가들이 스스로를 홍보하고
워크샵을 통해 수익 창출의 기회를 마련합니다.
 
지금 바로 도전하세요!
장비 사용법과 결과물 제작까지 한번에!
  [팹랩서울 · 10월 정기워크샵]  

[ 팹랩서울 10월 장비 워크샵 ]
 
매월 진행되는 장비워크샵은 선착순 마감됩니다.
주저하지말고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3D프린터 교육 : 10월 22일 (월) 19:00-22:00 
 레이져커터 교육 : 10월 24일 (수) 19:00-22:00 
CNC 머신 교육 : 10월 19,22,26,29일 (월/금) 15:00-18:00
실리콘밸리로 떠난 혁신기업가가 들려주는
─  [Singularity University 이야기]  
지난 9월 3일,
싱귤래리티대학 Incubating 과정이 시작되었습니다.
 
타이드인스티튜트가 발굴한 한국의 혁신기업가
Envelops_조영재와 Farmtainer_전창호의 SU에서의 흥미진진한 캠퍼스생활은
SU 서울챕터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11월로 예정된 “SU Seoul Salon“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미래 진로 특강
─  미래트렌드 레시피 ]  

[ 2018 서울시립과학관 미래진로특강 2회 ]
 
미래트렌드 레시피 특강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미래채널 MyF 황준원 대표와 함께
미래에 촉망받을 직업과 기술에 대해 살펴보세요!
 
일시 : 9월 29일 (토) 14:00-15:30 
 장소 : 서울시립과학관 싸이언스홀
● 교육 대상 : 학부모 및 일반인 6-70명
● 문의 : 남진혁 연구원 (njh@tideinstitute.org)
시제품 제작지원 전문가 서비스
─  [ 팹랩수원 · 셀프제작소 ] 

아이디어는 있지만 비용이나 전문지식 부족으로
시작품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공간!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시제품 제작터
(팹랩수원)
  • 전문가 제작 서비스 (031) 201- 6864

    제품디자인 > 제품설계 > 시제품 제작의 전 과정을

           전문 연구원이 직접 대행하는 서비스

  • 셀프제작 서비스 (031) 201-6861 

          셀프제작소 내 장비 및 공구를 활용하여 직접 제품을                제작하는 서비스(오픈랩)

(사)타이드인스티튜트 | 팹랩서울
partnership@tideinstitute.org서울시 종로구 장사동 116-4 세운상가 510호 |  02-2268-2011
수신거부Unsubscribe

 

[인터뷰] 황동호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 ‘메이커 많아져야 일자리도 늘어요’ – 서울경제

LG소셜캠퍼스 ‘소셜콘서트’ 강연
아이들, 실패 용인되는 공간 필요
작은 실패가 쌓여 큰 성공 끌어
메이킹 지원하는 매니저 육성할것

[인터뷰] 황동호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 '메이커 많아져야 일자리도 늘어요'

“제품 아이디어를 직접 만들어보는 메이커(창작활동가)가 많아질수록 이들을 지원하고 제작공간을 운영하는 인력 등 관련 일자리도 함께 늘어날 수 있습니다.”

국내 메이커 스페이스(공간)의 효시인 타이드인스티튜트의 황동호(사진) 대표는 최근 서울 고려대 산학협력단에서 LG소셜캠퍼스가 마련한 ‘소셜콘서트’ 강연 후 서울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메이커 생태계가 커질수록 일자리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영리법인인 타이드인스티튜트는 지난 2013년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에 민간으로는 처음 메이커 공간인 팹랩(FabLab)을 만들었다. 3차원(3D) 프린터, 레이저커터 등의 장비를 갖춰놓은 이곳에서 예비창업자·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시제품으로 제작한다. 매일 20~30여명의 메이커가 꾸준히 찾는 아이디어 요람이다. 황 대표는 “만들기는 인간의 본성”이라며 “사소한 아이디어도 직접 만들어 현실화하는 메이커 문화를 사람들이 너무 어렵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여전히 계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을 비롯해 수원·대전·제주 등에도 팹랩을 운영하는 타이드인스티튜트는 트럭에 장비를 싣고 소외지역을 돌며 차상위계층 자녀들에게 제작공간을 제공하는 팹트럭 사업도 벌이고 있다. 무박 2일간의 메이커 경진대회인 메이커톤, 전문 교육과정인 메이커스 프로도 주요 프로그램이다.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2016년 미얀마 양곤에도 팹랩을 세우는 등 개발도상국에 메이커 공간을 지어주는 K랩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다양한 사업들의 운영비는 연간 30억원에 이른다.

황 대표는 “사업비의 대부분은 팹랩 이용료 등 자체 프로그램 운영 수익으로 충당한다”며 “스스로 꾸려가야 메이커 생태계가 제대로 만들어지고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타이드인스티튜트 설립자는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 후보’로 잘 알려진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다. 2011년 타이드인스티튜트를 세운 고 대표는 2014년 3D 프린팅 스타트업인 에이팀벤처스를 세우고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직은 지난해 초 황 대표에게 물려줬다.

황 대표는 강연에서 “타이드인스티튜트의 궁극적 목표는 혁신학교, 혁신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이라며 “전문 메이커들을 키워 그들이 창업하고 사회적 가치를 일궈내도록 돕는 것이 책무”라고 말했다. 또 “누구나 메이커 공간을 공공도서관이나 PC방처럼 편하게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소년들에게는 일찍 실패를 경험하고 공유하는 공간이다. 그는 “아이들에게는 시행착오와 실패가 용인되는 공간이 필요하다”며 “작은 실패가 쌓여 큰 성공과 혁신을 가져오는데 우리 사회는 지금 이것을 놓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타이드인스티튜트 팹랩에서 그동안 50여개의 아이디어 및 프로젝트가 기술사업화 과정을 거쳤다. 그는 “획기적인 스마트 점자시계 ‘닷워치’를 개발한 스타트업 ‘닷’도 서울 팹랩에서 첫발을 내디뎠다”며 “메이킹 활동은 생각을 실현하는 것이며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설립 10년째가 되는 오는 2021년까지 2,021명의 혁신 기업가를 육성한다는 비전을 세웠다. 그는 “메이커 공간을 제대로 만드는 것은 결국 사람”이라며 “메이커를 지원·양성하는 매니저 인력을 육성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현욱기자 hwpark@sedaily.com

원문 보기: https://sedaily.com/NewsVIew/1S4NR52P8N#_enliple

[TIDE #8] 한국의 혁신기업가, SingularityU에 가다!

타이드인스티튜트 8월호 소식입니다.

[ 2018 SingularityU Korea Global Impact Challenge ]  ───────────
유난히도 뜨거웠던 올 여름처럼
치열한 경쟁을 거쳐 선발된 2018 SU Korea GIC 대회의 우승은
Envelops (엔벨롭스)Farmtainer (팜테이너)가 차지했습니다!
타이드인스티튜트는 앞으로도 혁신기업가 발굴 및 육성에 힘쓸 것입니다.

[ 2018 SU Korea GIC Community ]
 
 2018 Global Impact Challenge 대회 1기 파이널리스트 네트워킹 파티 
우승 두 팀의 환송회
8월 14일, 팹랩서울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 날 참석자들은
GIC 대회 이후의 소식들과 앞으로의 계획 등을 공유하며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승 두 팀은 미국 실리콘밸리 나사(NASA)안에 위치한 Singularity University로 떠나게 됩니다.
두 팀이 들려주는 SU에서의 경험은 오는 11월로 예정된
SU Seoul Salon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년 안에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주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인
네트워킹 파티 모습을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아마추어도 아티스트다! 다시 돌아온  [팹랩서울 · 2018 팹티스트]  ──────────

[ 2018 팹티스트 ] 
 
팹티스트는 Fab + Artist의 합성어로 메이킹에 재능있는 작가들을 의미합니다.
팹티스트를 통해 작가들이 스스로를 홍보하고
워크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 
▶ 지원자격 :
   – 자신의 콘텐츠를 홍보하고 싶은 신진작가
   – 콘텐츠는 있지만, 마땅한 교육공간이 없는 사람
   – 자신의 활동을 알리고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은 사람
   – 경력이 단절되어 기회를 만들고 싶은 작가
   – 팹랩에서 강의를 하고 싶은 작가, 메이커, 디자이너 등 누구나! 
▶ 장소 : 팹랩 서울 메이킹룸 및 디자인룸
▶ 모집 : 상시 모집 
▶ 접수처 : bit.ly/팹티스트문의
▶ 문의 : 박은우 연구원 (pew@tideinstitute.org)
장비 사용법과 결과물 제작까지 한번에!  [팹랩서울 · 9월 정기워크샵]  ─────────

[ 팹랩서울 9월 장비 워크샵 ]
 
매월 진행되는 장비워크샵은 항상 선착순으로 조기 마감됩니다.
주저하지말고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3D프린터 교육 : 9월 17일 (월) 19:00-22:00 
▶ 레이져커터 교육 : 9월 19일 (수) 19:00-22:00 
상상을 현실로!  [팹랩제주 · 2018 메이커 아카데미]  ─────────────────
[ 팹랩제주 메이커 아카데미 ] 
팹랩 제주에서 진행되는 메이커 아카데미는 
3D 프린팅, 레이저 커팅, CNC 라우터 등의 수업과 개별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총 16회차로 구성된 메이커 아카데미는 
지난 8월 18일 첫 수업을 시작했으며,
10월 18일까지 진행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
  • 팹랩제주 (타이드인스티튜트)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가 함께합니다.

시제품 제작지원 전문가 서비스  [팹랩수원 · 셀프제작소]  ───────────────

아이디어는 있지만 비용이나 전문지식 부족으로
시작품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공간!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시제품 제작터
(팹랩수원)
  • 전문가 제작 서비스 (031) 201- 6864

    제품디자인->제품설계->시제품 제작 까지의 전과정을 전문연구원이 직접 대행하는 서비스 
  • 셀프제작 서비스 (031) 201-6861

    셀프제작소 내 장비 및 공구를 활용하여 직접 제품을 제작하는 서비스(오픈랩)

──────  HW 스타트업을 위한 네트워킹  [에이팀벤처스 · HARDWARE ALLIANCE]

[ 하드웨어 얼라이언스 ·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위한 제조노하우 공유 및 네트워킹 ]
 
에이팀벤처스가 주최하는 제 4회 하드웨어 얼라이언스8월 29일(수)에 열립니다.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위한 크라우드펀딩 활용 전략과 크라우드펀딩 이후의 제조와 유통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와디즈 리워드 사업을 총괄하는 황인범 이사와 와디즈 최고 펀딩 금액을 기록한 샤플의 진창수 대표가 발표합니다.
 
참가 신청이 오늘 마감되오니, 서둘러 신청해주세요!
─────────────────  청년 이노베이터 취창업지원  [D-Makers Challenge]
[실패도 프로처럼 · Pro-Failure Project #1] 
디자인 마이 라이프, 프로-페일러 프로젝트는 
실패의 과정을 통해 보다 나은 미래를 찾고 스스로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입니다. 
 
▶ 대상 : 전공 무관 / 나이 무관 / 창의적 · 개방적 마인드  +  도전 의지를 지닌 잠재적 창업가 및 일반인

(19세 ~ 39세 청년 예비창업자 및 구직자 우선 선발)

▶ 모집기한 : ~8월 31일 (금) 까지 
▶ 접수처 : https://c11.kr/33uk (모바일 지원 가능)

▶ 문의 : makers2643@gmail.com / 031-8005-2643

───────────  아이디어를 시제품화 할 수 있는  [2018 시제품제작 아이디어 챌린지]

[ 2018 시제품제작 아이디어 챌린지 ]
우수한 아이디어를 현실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꿈에대한 도전의식을 갖고있는 누구나 참여가능한 2018 시제품제작 아이디어 챌린지!
▶ 신청자격 : 수도권 대학생 및 대학원생 (2인 이상 6인 이하로 구성된 팀)
▶ 접수 기간 : 2018. 08. 20 (월) ~ 09. 11 (화) 17:00까지
▶ 접수처 : http://www.ideamaru.or.kr
▶ 문의 : ideachallenge2018@naver.com  /  02-6225-0883

(사)타이드인스티튜트 | 팹랩서울
partnership@tideinstitute.org서울시 종로구 장사동 116-4 세운상가 510호 |  02-2268-2011
수신거부Unsubscribe

용산구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취향저격’ – 아시아경제

여름방학 맞아 ‘Make 人 Better’, ‘솔깃한X프로젝트’ 등 선봬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용산구(구청장 성장현)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미래야’가 중고등학교 여름방학을 맞아 ‘Make 人 Better’, ‘솔깃한X프로젝트’ 등 청소년 취향저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여럿 선보여 눈길을 끈다.

‘Make 人 Better’은 인간중심 디자인과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메이커 교육이다. ‘소확행 : 소외된 이웃을 위한 확실한 행동’이란 부제를 달았다. 3D프린터 공작소 ‘팹랩서울(Fab Lab Seoul)’ 소속 메이커 전문가와 숙명여자대학교 멘토단이 함께한다.

수업기간은 7월30일부터 8월10일까지며 수강인원은 미래야 홈페이지를 통해 모은 청소년 12명이다. 오리엔테이션, 재료탐색 및 자료검색, 아이디어 발표, 시제품(프로토타입) 제작, 결과 발표회 순으로 11회에 걸쳐 수업이 이어진다.

‘솔깃한X프로젝트’는 문화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는 ‘게임개발자X캐릭터디자이너’란 부제에 맞게 장재곤 게임개발자와 김욱환 캐릭터디자이너가 강사로 참여, 전문 직업인 세계를 알린다.

수업기간은 7월31일부터 8월11일까지며 청소년 12명이 함께한다. 나만의 캐릭터를 기획·디자인하고 유니티(Unity) 엔진을 활용, 직접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마지막 시간에 작품을 발표하고 소감을 나눈다.

용산구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취향저격'

미술분야 진로 설계 프로그램 ‘아트 미(美)래야’도 있다. 김정아 숙명여자대학교 회화과 교수와 대학생들이 강사진으로 참여, 채색화·수묵담채화·유화·아크릴화·드로잉 등 전공 분야별 멘토링을 실시한다. 단체작품으로 미디어아트도 만들어 볼 수 있다.

수업은 8월23일부터 9월22일까지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8월11일까지 수강생(서울시 거주 14~19세 청소년) 15명을 모집한다. 미래야 홈페이지 ‘프로그램 접수’ 란에서 신청할 수 있다. 별도 참가비는 없다.

구와 미래야는 8월6일부터 11일까지 6일간 용산아트홀 지하1층 전시장에서 ‘2018 우리들의 축제’도 연다. 아트 미(美)래야 프로그램 수료자로 구성된 미술동아리 ‘스틸아트’ 회원들의 작품 전시회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에서 메이커교육과 게임 제작, 미술교육·전시에 이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며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고 또래 네트워크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용산구 인재양성과(☎2199-6484) 또는 용산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070-7165-1035)로 문의

용산구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취향저격'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원문 보기: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310733532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