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에서 ‘우주인 예비 후보’로, 그리고 지금은 ‘벤처사업가’로.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만큼 인생이 다채로운 인물도 흔치 않다.
Continue reading[현장] 달려라 카트, ‘재미’에 골인할 때까지 – 블로터
에이팀벤처스-타이드인스티튜트, ‘춘천 에디슨 박종원’ 과학 영재 교육 지원 1호 선정 – 전자신문
한국 최초 우주인에서 3D프린팅 사업가로 변신한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과학영재 육성에 나섰다.
보급형 3D프린터 제조 및 온라인 3D프린팅 서비스 기업 에이팀벤처스(대표 고산)와 기술 창업 지원 비영리 법인 타이드인스티튜트(대표 황동호)는 3D프린팅 및 메이커 교육 지원 1호 대상자로 강원중 박종원군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양사는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에 위치한 팹랩 서울에서 3D 프린터 1대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이용권을 박군에게 증정했다.
에이팀벤처스와 타이드인스티튜트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창의융합교육을 메이커 운동 차원에서 확산하기 위해 과학 영재 지원을 결정했다. 특히 내년부터 시행되는 소프트웨어(SW) 의무교육에 대비해 디지털 제작이 가능한 3D프린팅, 아두이노, 레이저 커터 등을 병행해 배우면 주니어 창업까지 기회가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이팀벤처스는 과학 영재에게 3D 프린팅 입문용 보급형 3D 프린터 ‘크리에이터블 D3(Creatable D3)’를 증정했다. 또 타이드인스티튜트는 70만원 상당의 청소년 메이커 양성 프로그램 ‘팹틴(Fab Teen)’을 증정한다. 실제 3D 프린팅 장비를 운용할 뿐만 아니라, 팹랩 서울의 다양한 디지털 제작 장비를 활용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춘천 강원중 박종원군은 ‘춘천 에디슨’으로 불리며 최근 3년간 발명 경진대회에서 10여 차례 입상했다. 초등학생 시절 발명한 ‘직립 달걀함’ 특허도 출원했다. 사교육 없이 고교 수준 이상의 물리학 지식을 공부하고, 발명 아이디어 수첩만 20권이 넘어 발명 영재로 불린다.
박군은 “현재 코딩을 독학 중인데 팹틴 교육을 들으며 과학에 관심이 많은 또래 친구를 많이 만나고, 교류할 수 있어 즐거울 것 같다”면서 “코딩 화면에 처음 출력해보는 ‘헬로, 월드!’ 단어를 3D 모델링해서 이번에 받은 크리에이터블 D3로 출력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황동호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는 “청소년 메이킹 입문과정인 팹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역량인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청소년들이 키울 수 있도록 지난 4년간 개별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면서 “1호 지원자인 박종원군 외에도 청소년 메이커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것”이라고 전했다.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는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과학 영재를 위해 3D프린팅을 포함한 디지털 제조 장비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라면서 “에이팀벤처스와 타이드인스티튜트는 청소년을 위한 3D프린팅 및 메이커 교육을 확산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과학 영재들을 계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m
세운상가 찾은 과기부 유영민 장관 – 정보통신신문
아이디어를 현실로…’혁신 기업가’ 텃밭 일군다 – YTN 사이언스
도시재생으로 4차산업 최일선 현장이 된 ‘세운상가’ – 환경미디어
“정부가 우리와 비슷한 연구소 만들어 운영하면 어쩌나” – 한국일보
세운상가 공동작업장 ‘팹랩서울’서
창업자들 과기부 장관에게 쓴소리

거무죽죽한 콘크리트가 그대로 드러난 천장과 어울리지 않게 한쪽 벽의 철제 선반에는 10여 대의 첨단 3D프린터가 놓여 있다. 커다란 작업용 탁자 주위로 고가인 대형 레이저절단기부터 자잘한 공구들까지 모두 갖춘 이 공간은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가동 5층의 ‘팹랩서울’이다.
팹랩은 제조(fabrication)와 실험실(laboratory)의 합성어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에서 시작해 106개국으로 확산된 ‘메이커스’(Makersㆍ다양한 것을 만들며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동 작업장이다. 국내에서는 2013년 4월 문을 연 팹랩서울이 최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영민 장관이 19일 4차산업혁명의 최전선인 팹랩서울을 찾았다. 메이커스나 이미 창업에 나선 이들은 4차산업혁명의 주무 부처 장관에게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한국의 일론 머스크’를 꿈꾼다고 자신을 소개한 오상훈 럭스로보 대표는 “메이커 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왜 팹랩이 필요한지 먼저 인식해야 한다”며 “우리 사회 아이들이 창의성보다 지시받은 일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먼저 배우는 게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보기술(IT) 제조업체 아나츠의 이동엽 대표는 “4차산업혁명을 위해 제조업과 IT를 융합해야 하는데, 지금은 제조업과 IT가 따로 놀아 어떤 과제가 있으면 이게 과기부 소관인지, 산업부 것인지 따지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꼬집었다.

참석자들은 정부가 4차산업혁명의 가시적 성과에 급급해 민간에서 이미 시작한 아이템을 모방해 비슷한 것을 내놓을지 모른다는 우려도 피력했다. 민간에서 시작해 국내에 126개나 생긴 팹랩 중 92개가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현실이 이를 반영한다. 모두의연구소 김승일 소장은 “우리 연구소는 누구나 참여해 원하는 연구를 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는데, 정부가 비슷한 연구소를 만들어 운영하면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국내 3D프린터 대표 주자 중 하나인 에이팀벤처스의 고산 대표도 “이미 생태계가 존재하는데 정부가 섣불리 개입하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유 장관은 “정부의 역할을 고민하고 오늘 나온 얘기들을 잘 정리해 지원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원문 보기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10191871605000
세운상가, 4차산업 현장 변모 “만들고 싶은 것 다 만드는 꿈의 공간” – 경향신문
‘팹랩 서울’에 가 보니

19일 오전 세운상가의 광장 공원을 올라가자 ‘세봇’이란 이름의 로봇이 기자를 맞았다. 세봇은 “탱크도 만들 수 있다고 알려진 무림의 고수, 세운상가의 기술장인들이 힘을 합쳐 저를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세운상가 5층에 있는 ‘팹랩 서울’로 가기 위해 대학생으로 보이는 방문객 20명이 한꺼번에 엘리베이터를 탔다. 팹랩 서울은 예비 창업자들을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곳으로 2013년 4월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이후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 결과 스타트업 17곳이 지난 한 달 사이 입주했다. 과거 30년간 쇠락의 길을 걸었던 세운상가는 토박이 장인들과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 새 기술로 무장한 젊은 장인들이 조화를 이루며 대한민국 최고의 부품상가에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이곳에서 55년간 전자음향 계통은 거의 대부분 다뤘다는 이승근 수리수리협동조합 이사장(72)은 “화려했던 시절을 겪다가 낙후되는 걸 보면서 여러 번 떠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를 붙잡고 새롭게 협동조합을 차려 젊은 창업가들과 협업에 나서게까지 한 것은 도시재생사업이었다. 전자부품을 쉽게 구할 수 있고 실력 좋은 장인들이 있는 이곳에 재생사업은 날개를 달아줬다. 메디컬 3차원(3D) 프린터 제작업체 아나츠의 이동엽 대표는 “이 동네는 상상만 하면 다 만들 수 있는 곳”이라며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천국”이라고 말했다.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멀리 갈 필요 없이 상가 내 제작소로 도면을 들고가 맡기면 실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곳 토박이 장인들의 실력이 좋아 설계한 대로 잘 나온다며 만족해했다.
팹랩 서울에서 1년 동안 지내면서 제작활동을 하는 레지던스인 강택수씨(27)도 “만들고 싶은 것을 다 만들 수 있는 곳”이라며 “공대생에게는 꿈의 공간”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한 그는 지난해 9월 군대 ‘말년 휴가’를 이용해 이곳을 찾았다. 지금까지 컴퓨터 케이스, 아이언맨 마스크, 코르크 컵받침 등 취미 삼아, 재미 삼아 만들고 싶은 것들을 마음껏 만들었다. 월 15만원의 비용을 내면 재료비 부담 없이 이곳의 시설을 한 달 동안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이날은 LED 쥐불놀이 장비를 마무리 작업 중이었다.
팹랩은 전문 제작자가 아니어도 아이디어만 있다면 3D 프린터나 레이저 커터 등 고가의 장비를 큰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해 시제품을 만들 수 있는 제작 실험실(fabrication+laboratory)이다. 팹랩은 아이디어를 직접 만들고 공유하는 1인 제작 운동인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국내에도 ‘팹랩 서울’ 등 민간 팹랩 34곳을 포함해 126개가 있다.
강씨를 이곳에 끌어들인 이는 12년 전 칠레에서 한국으로 온 로드리고(34)다. 로드리고는 국내 대기업을 다니다 그만두고 팹랩 서울에서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팹랩을 시작했을 때 이런 공간이 많이 생겼으면 좋다고 생각해 정부와 손잡고 전국 곳곳에 여러 팹랩을 열었다”며 “제품을 만들다 엔지니어링의 측면이나 코딩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국내는 물론 해외의 팹랩에 물어봐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로드리고는 세운상가가 변모한 과정을 “예뻐졌다”고 말했다. 그는 “예뻐지니 젊은 친구들이 많이 찾아오고 다리(세운상가~대림상가 사이에 있는 3층 높이의 공중보행교)가 생기면서 또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며 “메이커 문화가 더 퍼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날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의 현장 답사를 위해 직접 세운상가를 지목해 이곳을 찾았다. 유 장관은 이날 청년 기업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세운상가가 도심재생을 통해 실체가 있는 4차 산업의 현장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모습이 좋다”며 “지난 11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현장을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원문 보기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10192114015&code=920100
‘4차산업 현장’ 챙긴 유영민 장관 “분야별 대책 조만간 수립” – 머니투데이
[타이드인스티튜트] 타이드 9월 호 소식을 전합니다.
타이드 통신 9월 호 소식입니다.
/플러스 디자인 스쿨 – 청소년들을 위한 창의+미래 교육 ‘청소년 모집’
팹랩과 브레이너리가 함께 하는 + PLUS DESIGN SCHOOL 은
디자인싱킹 교육을 통해 상상하고 생각하고 만들고 다지는 경험을 하도록 합니다.
자신이 설계한 것을 실제로 만들어보는 능력을 키워 이 과정 속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확인하고 싶은 청소년들, 어서 신청해주세요!
팹랩서울에서 메이커 되어보기 ───────────────────
2017 메이커 아카데미 2차교육 OPEN!
팹랩서울 9월 정기 워크샵
본격 메이커되기, 첫 걸음.
팹랩서울에서 메이커아카데미를 수강하기! 3D프린터 교육, 아두이노, CNC머신 교육까지 모두 무료! 이번 교육에는 특히나 Electronics Design & Production 수업을 통해, PCB도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일정 : 10월 10일~11월 10일 매주 월수금 오전 9시 ~ 12시 3D프린팅 기계구동법부터 출력까지-!
레이져커팅에 사용하는 일러의 핵심 기능, 꿀팁만 가르쳐드립니다! 일정 : 3D프린터(25일) 레이져커터(27일)
저녁 19시~22시
국내 우수 VC와의 상담 및 컨설팅 기회 제공까지! ───────────────────
스마트콘텐츠 IR 피칭 데이 개최 안내
국내 우수 스마트콘텐츠 기업에 대한 투자 발표회 및 기업과 VC간 1:1 대면 상담 기회 제공 등
투자 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IR 피칭 데이”를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배움과 기술을 통한 아름다운 나눔을 만듭니다 ───────────────────
[팹랩수원] 3D 프린팅 의수제작 프로젝트
셀프제작소에서 10월-11월에 걸쳐 새로운 손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을 위한 3D프린팅 의수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새로운 손이 필요하신 분들과, 워크샵 참여로 함께 희망을 선물할 열정있는 메이커(일반인)분들을 모십니다.
(사)타이드인스티튜트 | 팹랩서울
partnership@tideinstitute.org 서울시 종로구 장사동 116-4 세운상가 867호 | 02-2268-2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