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랩 서울’에 가 보니
19일 오전 세운상가의 광장 공원을 올라가자 ‘세봇’이란 이름의 로봇이 기자를 맞았다. 세봇은 “탱크도 만들 수 있다고 알려진 무림의 고수, 세운상가의 기술장인들이 힘을 합쳐 저를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세운상가 5층에 있는 ‘팹랩 서울’로 가기 위해 대학생으로 보이는 방문객 20명이 한꺼번에 엘리베이터를 탔다. 팹랩 서울은 예비 창업자들을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곳으로 2013년 4월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이후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 결과 스타트업 17곳이 지난 한 달 사이 입주했다. 과거 30년간 쇠락의 길을 걸었던 세운상가는 토박이 장인들과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 새 기술로 무장한 젊은 장인들이 조화를 이루며 대한민국 최고의 부품상가에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이곳에서 55년간 전자음향 계통은 거의 대부분 다뤘다는 이승근 수리수리협동조합 이사장(72)은 “화려했던 시절을 겪다가 낙후되는 걸 보면서 여러 번 떠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를 붙잡고 새롭게 협동조합을 차려 젊은 창업가들과 협업에 나서게까지 한 것은 도시재생사업이었다. 전자부품을 쉽게 구할 수 있고 실력 좋은 장인들이 있는 이곳에 재생사업은 날개를 달아줬다. 메디컬 3차원(3D) 프린터 제작업체 아나츠의 이동엽 대표는 “이 동네는 상상만 하면 다 만들 수 있는 곳”이라며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천국”이라고 말했다.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멀리 갈 필요 없이 상가 내 제작소로 도면을 들고가 맡기면 실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곳 토박이 장인들의 실력이 좋아 설계한 대로 잘 나온다며 만족해했다.
팹랩 서울에서 1년 동안 지내면서 제작활동을 하는 레지던스인 강택수씨(27)도 “만들고 싶은 것을 다 만들 수 있는 곳”이라며 “공대생에게는 꿈의 공간”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한 그는 지난해 9월 군대 ‘말년 휴가’를 이용해 이곳을 찾았다. 지금까지 컴퓨터 케이스, 아이언맨 마스크, 코르크 컵받침 등 취미 삼아, 재미 삼아 만들고 싶은 것들을 마음껏 만들었다. 월 15만원의 비용을 내면 재료비 부담 없이 이곳의 시설을 한 달 동안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이날은 LED 쥐불놀이 장비를 마무리 작업 중이었다.
팹랩은 전문 제작자가 아니어도 아이디어만 있다면 3D 프린터나 레이저 커터 등 고가의 장비를 큰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해 시제품을 만들 수 있는 제작 실험실(fabrication+laboratory)이다. 팹랩은 아이디어를 직접 만들고 공유하는 1인 제작 운동인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국내에도 ‘팹랩 서울’ 등 민간 팹랩 34곳을 포함해 126개가 있다.
강씨를 이곳에 끌어들인 이는 12년 전 칠레에서 한국으로 온 로드리고(34)다. 로드리고는 국내 대기업을 다니다 그만두고 팹랩 서울에서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팹랩을 시작했을 때 이런 공간이 많이 생겼으면 좋다고 생각해 정부와 손잡고 전국 곳곳에 여러 팹랩을 열었다”며 “제품을 만들다 엔지니어링의 측면이나 코딩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국내는 물론 해외의 팹랩에 물어봐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로드리고는 세운상가가 변모한 과정을 “예뻐졌다”고 말했다. 그는 “예뻐지니 젊은 친구들이 많이 찾아오고 다리(세운상가~대림상가 사이에 있는 3층 높이의 공중보행교)가 생기면서 또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며 “메이커 문화가 더 퍼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날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의 현장 답사를 위해 직접 세운상가를 지목해 이곳을 찾았다. 유 장관은 이날 청년 기업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세운상가가 도심재생을 통해 실체가 있는 4차 산업의 현장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모습이 좋다”며 “지난 11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현장을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원문 보기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10192114015&code=920100